'2007/06'에 해당되는 글 8건

허니몬에 관한 보고서/생물학도 허니몬
반은 백마, 반은 얼룩말 모양으로 태어난 ‘얼룩말-말 교배 동물’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27일 독일 언론들이 보도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화제의 주인공은 독일의 한 동물원에 살고 있는 한 살 난 ‘이클리스’. 수컷 얼룩말과 암컷 말 사이에서 태어난 이클리스는 말(horse)도, 얼룩말(zebra)도 아닌 ‘조스(zorse)’로 불리는데, 몸통 일부에 순백색 페인트를 칠한 것 같은 모습이 특징.

한 살을 갓 넘긴 이클리스는 너무나도 독특한 모습으로 인해 관람객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마치 누군가 이클리스의 몸통에 장난삼아 페인트를 칠하다 만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 동물원 관계자의 설명.

얼굴과 하반신(?) 일부는 얼룩무늬, 몸통 및 네 다리는 순백색인 이클리스의 모습은 독일 동물원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소개된 후 해외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해 알려지면서 네티즌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낳고 있는 중이다.

(사진 : 반은 백마, 반은 얼룩말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 이클리스의 모습 / 독일 사파리파크)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팝뉴스)
------------------------------------------------------------------------------------------------------------
'인간들에 의해서 새로운 종이 탄생한다.'라는 것은 신이라 하는 존재의 영역을 두드리고 싶은 인간의 욕망 때문일 것이다.
다른 이종간을 교접시켜서 새로운 종을 탄생 시킬 수 있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사자와 호랑이의 종간잡종 라이거<http://100.naver.com/100.nhn?docid=53613>
말과 당나귀 사이의 종간잡종 노새<http://100.naver.com/100.nhn?docid=38702>
정도가 있겠다. 종간(서로 다른 종 사이에)잡종(섞인 종)이 되는 경우는 유전자 수가 같아야 한다. 같은 과 안에는 속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지만... ㅡㅅ-);; 그다지 하고 싶지는 않다. 저렇게 종간잡종들의 경우에는 생식능력이 없어서
1세대에서 그 생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보기에는 좋을 지 모르지만, 생물학자로서 소견을 말하자면, 인간에 의한 인위적인 조작은 갑작스런 유전체계의
악영향을 미쳐 결국에는 그 영향이 인간에게 까지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절대로 금하였으면 한다.
우리가 기르는 채소에 농약을 많이 치는 이유 중에 하나는, 보기좋고 먹기 좋은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하여 인간들이
유전되는 우성과 열성 중 보기 좋고 먹기 좋은 유전자만 선택적으로 취하면서 유전자원이 궁핍해면서 병충해에 약해지게
된다. 유전자원이 풍부해야 병충해에도 강한 면역력을 가질 수가 있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과거 프랑스 왕족들이
돌연변이나 좋지 않은 병에 걸렸던 이유 중에 하나가 근친간의 혼인으로 인한 열성 유전자의 발현되어 나타난 현상
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는 오래 전부터 이런 부분에 대한 지혜로움을 보여주었다.
동성동본 간의 결혼을 금지하는 것이다. 이는 유전적인 자원이 제한 되는 것을 전통적 관습을 통해 차단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이란 무시할 것이 아니라는 깨달음을 얻게 하는 부분들이다.
허니몬의 IT 이야기

PINGPacket Internet Groper 의 약어입니다.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ICMP) 에코 패킷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있는 장비가 작동 중인지 아닌지,

패킷이 그 장비에 도달하는데 얼마나 걸리는 지 알아보는 데 쓸 수 있습니다. 이 외에 네트워크 상에서 일어나는 문제

바생시 기본적으로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Command 상(윈도우 도스 창 : Windows Key + R 눌러서 명령창이 뜨면 CMD를 입력했을 때 뜨는 검은 명령창)에서

ping 이란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옵션들을 보여주게 됩니다.

Usage : ping [-t] [-a] [-n count] [-l size] [-f] [-i TTL] [-v TOS]

[-r count] [-s count] [ [-j host-list] | [-k host-list] ]

[-w timeout] target_name(IP or URL)

-tPing the specified host until sopped.

To see statistics and continue - type Control-break;

To stop - type Contrl-C.

-> Ping이 계속 나가게 하는 옵션입니다. Contrl+break를 누르면 정적으로 (정지된) 그리고 계속되는 걸 볼 수 있고

Control-C 를 누르면 멈추게 됩니다.

-a Resolve addresses to hostnames

-> 윈도우에 설정되어 있는 컴퓨터 이름을 보여줍니다.

-n count Number of echo requests to send.

-> 에코 요구를 몇개 보낼지, 즉 Ping을 몇번 실행할 것인지를 결정합니다.

-lsize Send buffer size.

-> Buffer의 크기를 설정합니다. Ping 패킷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크기의 제한은 0 < Size < 65500 입니다. 보통 Ping 을 하게되면 32byte로 나갑니다.

-f set Don't Fragement flag in packet.

-> 패킷에 Don't Fragement flag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이 패킷은 도중에 게이트웨이에 의해

조각으로 나누어지지 않습니다. 이말은 패킷이 목적 디바이스에 완전히 전달되도록 보장한다는 것이다.

만일 이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다면 라우터는 더 작은 패킷을 지연하는 매체를 통과하기 위하여 조각으로

나눌 수 없습니다. 만일 라우터에 매체가 포함되어 있다면 라우터는 그 패킷을 버리고 송신자에게

ICMP 목적지에 도달할 수 없음을 통보합니다.

** 간단히 말하면 깨지지 않는 가장 큰 단위(Packet)를 넘어가면 ping이 안되게 하는 옵션

Ex) Ping -f -l 1500 1.1.1.1이라고 하면 " Packet needs to boe fragmented but DF set" 나옴

** PC에서 ping 을 할 때 쪼개지 않고 내보낼 수 있는 최대크기는 1472byte입니다.

즉, -f 옵션을 사용하면 PC에서 패킷을 나누지 못하기 때문에 ping이 나가지 않습니다.

-f 옵션을 하용하지 않으면 PC에서 패킷을 나누어 보내기 때문에 ping이 가능합니다.

-iTTL time to Live.

-> TTL은 특정 이동통신 광고가 아니라 Time to Live(TTL) 플래그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패킷이 통과할 수 있는 라우터의(홉)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Ping 패킷의 거리를 제한하려면 TTL에 작은 값을 주면 됩니다.

Ping 을 하면 라우터를 지나갈 때마다 TTL의 값이 하나씩 감소하게 됩니다.

PC

└ 한국 Router - 1.1.1.1

└ 중국 Router - 2.2.2.2

└ 프랑스 router - 3.3.3.3

└ 영국 Router - 4.4.4.4

PC - 한국 라우터 - 중국 라우터 - 프랑스 라우터 - 영국 라우터 이런식으로 라우터 구성이 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봅시다. 옆에 1.1.1.1과 2.2.2.2 는 라우터의 IP 주소 입니다.

PC에서 한국 라우터로 ping 을 치면

Reply from 1.1.1.1 : bytes=32 time=97ms TTL = 255 라고 나옵니다. TTL의 값은 255입니다.

그건 PC에서 한국 라우터까지 하 대의 라우터도 지나가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TTL의 기본값이 255이기 때문입니다.

중국 라우터로 ping 을 치면

Reply from 2.2.2.2 : bytes=32 time=10ms TTL=254라고 나옵니다. 여기서 바뀐 점은 무엇일까요?

IP 주소나 time은 당연히 바뀔 것입니다.

마지막의 TTL 값이 바뀌었죠? TTL 값이 255에서 254로 바뀌었습니다.

이말은 라우터 한대를 지나서 중국 라우터에 왔다는 뜻입니다.

만약 프랑스로 Ping을 치면 TTL=253이 나올 것이고 영국은 당연히 TTL이 252라고 나옵니다. 한마디로 기본이 255

이니까 255개의 라우터를 지나가는 곳은 ping 으로 확인이 안됩니다. 255번째 라우터에 ping 이 도달하면

"Reply from 100.100.100.100 : TTL Expired in transit"

이런 메세지가 뜹니다. 여기서 100.100.100.100 은 255번째 라우터의 주소입니다.

255번째를 지나쳤거나 혹은 LOOP(무한반복)으로 인해 특정 라우터에서 반복적인 순환접근이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LOOP 명령이 걸린 특정 라우터에서 멈출 경우도 있다는 점 유의 하십시오. 이 때는위의 메시지가 나오는 라우터를

점검하셔야 합니다.

-i 옵션은 이 TTL값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Ping -i 1 1.1.1.1 하면 ping 이 됩니다.

라우터를 하나도 지나가지 않았기 때문이죠.

Reply from 1.1.1.1 : bytes=32 time=97ms TTL=255

이런 메세지가 나옵니다.

-i 옵션이 1이면 라우터를 한대이상 못 지나가게 하기 하는 겁니다. 즉, TTL값이 1이 되는 것입니다.

즉 ping -i 1 4.4.4.4 해서 영국 라우터로 ping을 치면

"Reply from 1.1.1.1 : TTL expired in transit"

이렇게 나옵니다.

-i 옵션의 값이 1이기 때문에 Ping 이 첫번째 라우터인 한국 라우터 1.1.1.1 까지만 도달하게 됩니다.

하지만 -i 값을 4로 해서 ping 을 하면 ping -i 4 4.4.4.4 하면 ping 이 됩니다.

만약 프랑스 라우터로 Ping 이 되게 하려면 -i 값을 3이상 영국은 -i 값을 4이상으로 줘야합니다.

참고로 Tracert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어떤 라우터를 거쳐서 도착하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tracert 4.4.4.4 하면

Tracing route to 4.4.4.4 over a maximum of 30 hops

1 13 ms 14 ms 13 ms 1.1.1.1

2 2 ms 2 ms 2 ms 2.2.2.2

313 ms 8 ms 6 ms 3.3.3.3

4 11 ms 11 ms 14 ms4.4.4.4

TTL 을 이용하여 확인 하는 것입니다. -i 1, -i 2 ....

원하는 IP 주소까지 TTL 값을 1에서 하나씩 늘려가며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IP보여주는 명령어를 정리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v TOS Type OF Service.

-> Type Of Service(TOS)플래그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만약 네트웍이 TOS를 지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면 그러한 연결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PING으로 특정 유형의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r Count Record route for count hops.

-> 라우터의 Count hops를 볼 수 있습니다.

즉 위에서 나온 영국 라우터 Ping -r 4 4.4.4.4 하면

Reply from 4.4.4.4 : bytes=32 time=47ms TTL=252

Route : 1.1.1.1 -> 2.2.2.2 -> 3.3.3.3 -> 4.4.4.4

라고 나옵니다. -r 값을 2라고 하면 2번째 라우터의 주소까지만 나오게 됩니다.

Reply from 4.4.4.4 : bytes=32 time=47ms TTL=252

Route : 1.1.1.1 -> 2.2.2.2

-s count Timestamp for count hops.

-> 홉에 시간도장을 찍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ping -s 3 4.4.4.4 하면

Reply from 4.4.4.4 : bytes32 time=47ms TTL=252

Timestamp 1.1.1.1 : 1237728770 -> 2.2.2.2 : 4268958325 -> 3.3.3.3 : 3825454512

위에서 숫자 3은 3번째 홉까지 보여주라는 걸 의미합니다.

-s 다음 숫자의 값은 1~4까지 가능합니다.

-j host-list Loose source route along host-list.

-> 호스트 목록을 따라 소스 경로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하여 반드시 거쳐야 하는 특정 디바이스를 지정합니다.

host-list 에 지정된 컴퓨터의 목록을 통해 패킷의 경로를 정합니다. IP가 허용하는 최대 수는 9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k 옵션과 같이 설명드리겠습니다.

-k host-list Strict source route along host-list.

-> 호스트-목록에 따라 정확한 소스 경로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하여 반드시 거쳐야 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지정합니다.

host-list에 지정된 컴퓨터의 목록을 통해 패킷의 경로를 정합니다.

IP가 허용하는 최대 수는 9 입니다.

먼저 -j 옵션을 예를 들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서 나온 PC~영국라우터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ping -j 1.1.1.1 4.4.4.4 하면

ping 을 영국라우터(4.4.4.4)로 하는데 경유지는 한국라우터(1.1.1.1)를 지나서 가게끔 하라는 명령입니다.

여기서 최소한 하나이상 경유지를 설정해 줘야 합니다.

경유지를 설정하지 않고

ping -j 4.4.4.4 로 입력하면

Bad option specified. (옵션을 정확히 쓰라고 나옵니다. 경유지는 9개까지 됩니다.

만약 PC에서 영국 라우터까지 가려면 한국, 중국, 프랑스를 거쳐서 가겠죠?

ping -j 1.1.1.1 2.2.2.2 3.3.3.3 4.4.4.4 하면

Reply from 4.4.4.4 : bytes=32 time=14ms TTL=252

Route: 3.3.3.3 -> 2.2.2.2 -> 1.1.1.1

-j에서는 하나 이상의 경유지를 설정해줘야 하지만.. -k는 모든 경유지를 다 설정해 줘야 합니다.

ping -k 1.1.1.1 2.2.2.2 3.3.3.3 4.4.4.4 이런식으로 말입니다. 이해가 되십니까??

-w timeout Timeout in miliseconds to wait for each reply.

-> 이건 1/1000 초 단위로 Reply 응답 신호를 최대한 기다리라는 시간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직접 해보면 ping -w 1000 4.4.4.4

영국 라우터가 응답을 빨리 하면

Reply form 4.4.4.4 : bytes=32 time=47ms TTL=252

메시지가 바로 뜨지만, 응답을 안할 때는 1000/1000 초(1초) 동안 기다린다는 뜻입니다.

1초가 되면 Request Timed out. 하고 메세지가 나옵니다.

허니몬에 관한 보고서

문득... 글을 쓰고 싶어지는 때가 있다.

누군가가 적은 글을 보면서, '나는 이런 생각들을 이렇게 표현을 해보고 싶다.' 라는 생각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요즘 들어 빈번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몇자 적다가도 내 자신의 필력이

매우 약하다는 생각을 하며 이내 글쓰기를 포기한다.

하지만, 요즘 들어서 부쩍 글쓰기에 대한 욕심이 무럭무럭 피어오르고 있다.

무엇을 적을 것인가 고민하고 있다. 마하 2.6을 보면서 비행기물과 관련된 글을 적어보고 싶다

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자료들을 모아야 하고, 미래를 예측할 필요도 있다.

비행기와 관련된 이야기는 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손가락이 근질근질 하다~~

허니몬에 관한 보고서
리눅스월드 코리아 가 코엑스에서 개최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갔다.
그러나, 리눅스 부스 자체는 그리 크지 않았다. 리눅스와는 크게 관련이
없다고 생각되는 것들이 많이 설치되어 있었다.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한
아시아눅스, 레드햇에서 개발한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5가 그나마
리눅스월드로서의 명맥을 유지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아이리버 부스. 깔끔한 화이트톤의 벽으로 만든 부스에는 사람들이 많았다.
화면 중앙에 보이는 주황색 야광색이 칠해진 쇼핑백은 튼튼했다.
( ㅡㅅ-);; 나도 하나 챙겼다.. 음트트트....

돌아다녀본 결과 나래이터모델이 많은 곳에서 많은 사람들을 볼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아이리버 나래이터 모델분들이 괜찮았다. 옷이 과하게 노출되지도 않았고
블랙톤의 심플한 원피스와 목에 걸고 있는 아이리버의 MPLAYER가 조화를 잘 이루었다.
ILUV 던가?? 애플사에서 새로 내놓는 MP3 부스에서는 광렌즈를 장착한 DSRL 카메라들의
플래쉬가 끊이지를 않았다. 물론!! 그곳에는 핫팬츠와 핫탱크(맞나?? ㅡㅅ-)를 입은
모델들의 멋진(?) 포즈와 한편에서는 금발의 미녀모델이 역시 몸을 살짝 가린 옷을 입고
있는 탓에 카메라를 열심히 찍느라 바빴다.
갠적으로... ㅠㅅ-) 디카를 장만하지 않았음을 후회했다. 크헐~~

이 녀석이 이번에 아이리버에서 만든 미키마우스의 뒤통수를 본따 만들었다는 디즈니Mplayer다.
사진과 같은 모양이며, 크기는... 2/3 정도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귀엽다... ㅡㅅ-);;
원자모형 H2O의 구조라고 생각하면 된다. 저 귀모양의 사이에 목걸이형의 이어폰을 꽂는다.

아이리버의 이벤트, 포스트잇에 하고싶은 말과 자기의 주소를 적으면 경품추첨을 해서
상품을 지급한다는 혹하게 만드는 이야기...

LG 102" PDP TV 이다... 크긴 크더라...ㅡㅅ-);; 오른쪽 하단에 아이가 보이지용??

이것 옆면...

이번에 나온 LG 19" XNote S900-UP73K
DISPLAY : 19" WXGA +(1.3Mega Pixel)
CPU : Core2Duop 2.0
Ram : DDR2 1024MB
Video :Geforce 8600M Gs 256MB
HDD : 320 GB
ODD : Super Multi
노트북이라고 하기 보다는 슬림형 데스크탑에 가깝다. 최근 데스크탑의 선을 줄이고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만들어지는 대형 스크린의 노트북이라 할 수 있다.

HP 부스는 허전했다... 자신들의 서버가 리눅스에 최적이라고만 자랑할 뿐...


걍... 한번 찍어봤다. 사이언 제품에서 리눅스를 쓰고 있다는 야그는 못들었는데...
흠... ㅡㅅ-);;

Open Standard Linux Organization (오픈표준리눅스연합) 이라고 할 수 있을까??
HP 에서 한통씩 주던 물통...

전시회에 설치된 서버의 둣면... 복잡하다... ㅡㅅ-);;
요즘은 슬롯형의 블레이드 서버가 유행인데... 후훔...

현재 내가 일하고 있는 대성전산.
+_+)> 많은 애용 바랍니다...
DVR(Digital Video Recorder) 와 전산 유지보수 업무를 주로 합니다.

코엑스에서 전철역으로 가는 길에 붙어있는 글씨....
발상의 전환, 역발상!!
------------------------------------------------------------------------------------------------------------

공짜로 새로운 많은 것들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귀찮다는 이유로 좋은 전시회가 있어도 가지 않았었는데, 가서 봐야한다는 의무감이 생겼다.

가서 보는 것만으로도 나에게 도움이 된다... 저런 전시회가 있다고 하면 빠지지 말고 가자.

허니몬에 관한 보고서


지난 23일 토요일에 COEX에서 열린 SEK 2007 (리눅스월드 코리아)를 다녀오다가 지하철로 가는 입구에서 본 것.

지도를 뒤집어서 본 적이 없는데... 저렇게 그려진 지도를 보고 나니 뭔가 색다른 느낌이 들었습니다.

우주에는 수많은 행성이 있습니다. 행성이 자전하기 때문에 위와 아래, 좌 우가 없듯이

지구도 위 아래가 없습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도의 위 아래는 서양인들이 지도를

만들면서 유럽의 위치를 좋게 표현하기 위한 것일 뿐입니다.

지도를 거꾸로 보면 우리나라는 지구의 중심에 놓여 있어 세계로 나아가는 중요한

략적 요충지 입니다. 우리 젊은이들도 이러한 우리의 지정학적 이점을 활용하고

역발상을 통해 미래의 주역이 되어 우리나라가 세계의 중심에 우뚝 설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입니다.

라는 내용의 문구가 아래에 있었습니다.

지나가는 사람들 사이에 서서 잠시 이 지도를 가만히 바라보았습니다.

여러분은 무엇을 느꼈습니까?

1 2
블로그 이미지

Email : ihoneymon@gmail.com 안녕하세요, 꿀괴물 입니다. ^^ 멋진 비행을 준비 하는 블로그 입니다. 만능형 인간이 되어 많은 이들에게 인정받고, 즐겁고 행복하게 살기를 간절히 원합니다!! 달콤살벌한 꿀괴물의 좌충우돌 파란만장한 여정을 지켜봐주세요!! ^^

허니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