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06'에 해당되는 글 2건

허니몬에 관한 보고서/허니몬의 행성, 허니스(Honies)

동물은 자신만의 영역을 가진다. 생물학 쪽에서는 이것을 Niche(생물학적 지위라고 해석하기도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어 다양한 의미 해석된다)라고 한다.

지구의 운명을 놓고 싸웠던, 적대적인 진영인 오토봇과 디셉티콘 군단의 결전처럼 적대적으로 다투기도 하고, 인간과 오토봇처럼 서로 협력하는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imgs/qrsi.tsp/5866914/7948931/0/3/A/2007.jpg

  이 니치라는 녀석은 그 사람이 자신의 개인성을 지키기 위한 영역으로, 흔하게들 '선'이라는 이미지로 구체화된다. 사람은 저마다 자신만의 영역의 경게를 긋는 선을 가지고 있다. 이 선은 특별한 마법이 걸려 있어서, 그 사람이 허락하지 않으면 넘어가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그 선이 그려진 영역의 넓이는 사람마다 제각각이고 그 모습도 제각각이다. 많은 사람들이 서로의 이 선의 영역에 막혀서 상대에게 다가가지 못해 답답해하고, 누군가는 자신만의 영역을 두드리는 낯선 사람들에게 두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런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 그 관계가 형성되는 경계'선'의 영역은 수많은 사람들과 접하는 입체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최근, 나는 한 사람의 마음의 경계를 두드리고 있다. 경계를 두드리면서 상대방이 친 선을 넘어서기 위해 신중한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상대를 면밀히 살펴보고 그 사람이 어떤사람인지 파악하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이 작업은 서두르면 그대로 틀어져서 상대방의 마음을 꽁꽁 닫아버리도록 만들기도 한다. 이런 것은 비단 남자와 여자와의 관게에서만이 아니라, 남자와 남자, 여자와 여자, 청년과 장년, 사회와 국민, 국가와 국가 등 다양한 집단(그 집단을 이루고 있는 것은 결국 인간이고, 인간에서 조금 더 감성이 담긴 존재로서 '사람'을 선호한다) 관계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경게를 허물고, 그 사람의 곁에 다가간다는 것은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그건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것이다. 

어떤 사람은, 너무나 쉽게 다른 사람들의 곁에 다가서고(그건 어디까지나 주변인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입장에서 일 뿐이다. 그 사람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역량을 동원해서 혹은 경험을 기반으로 해서 상대의 경계를 허물려고 노력한 것이고 그 결과만 주변에서 보고 있을 뿐), 자신은 다른 사람의 곁에 다가서거나 누군가가 자신의 곁에 다가오는 것을 경게하여 신경을 곤두세우고 날카롭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95/257376738_35871c2a3e.jpg

출처 : http://www.flickr.com/photos/keizie/257376738/

 

마음의 벽(혹은 선)을 부수는 것은 타이밍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처음에는 견고했던 사람의 마음이 부드러워지는 그 때가 있다. 그때 잽싸게 그 벽을 허물고 거기에 자신이 지나들 수 있는 문을 만드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의 과정은 사람마다 그 차이가 명백하게 드러난다. 어떤 이는 부수고 그대로 둔다. 그렇게 방치된 마음의 벽은 그 벽을 허문 사람이 떠나고 나면 흉물스럽게 남는다. 어떤 이는 부서진 공간에 출입구를 만들고 그 주변을 아름답게 정돈을 한다. 그래서 상대방이 원할 때면 언제든지 열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떠난 뒤에도 아름다운 기억으로 남아 그 문을 통해 다른 이들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xe/member/18910/page/files/attach/images/316/910/018/BerlinWall.jpg

출처 : http://samin.org/xe/member/18910/page/4

 

사람과 사람사이, 다양한 생각과 다양한 시점을 가진 사람들이 만나서 어울리고 살아가는 세상이다.

자신이 다가가고 싶은 사람을 알아가는 과정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정말 끊임없이 반복한다. 그 반복 속에서 실패를 두려워해서 사람사이의 관계를 형성하는 일을 주저하고 두려워한다면 다른 사람들과의 관게를 만들어갈 때에도 두려워하고 망설이고 움추려들 수 밖에 없다.

사람은 사람 사이에 있을 때, 사람다워진다. 

요즘은 이상하게... 사람들과 멀리 떨어져 거리를 두려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그게 과연 그들에게 적합한가에 대해서는 생각해봐야겠다.

미투데이, 트위터, 페이스북 등등의 다양한 소셜(온라인 인간관계) 서비스는 접근성이 뛰어나다. 쉽게 관계를 맺고 관게를 끊는다. 그런 편리함 때문일까? 사람들은 스킨 커넥트(Skin Connect) 혹은 상호 목소리를 듣고 시선을 교환하고 손길을 주고 받는 일을 꺼려하고, 온라인 속에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대리만족을 느끼고 있는 것은 아닐까? 

 

나 역시 SNS 서비스를 즐기고 있지만, 거기에 빠져들면 빠져들수록 뭔가 허전함을 느낀다.

내가 찾는 관계는 그곳이 없는 것인지도...? 요즘은 그 SNS 서비스 속에서 알게된 사람들을 만나 그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더 즐겁다. 

난 고리타분한 아날로그 세대일까?   

 

나는 조금 더... 많이... 사람들의 영역에 부딪치고 그들의 영역에 나의 통행로를 만들고 그들과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살아가고 싶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허니몬에 관한 보고서/허니몬의 드림성공노트

 깊게 파기 위해서는 넓게 파야한다. 단단한 지반을 가진 곳이라면 아래 그림에서 처럼 수직으로 파고 들어갈 수도 있겠지만, 나중에 어떻게 빠져나올까? ㅡ_-); 이왕파기 시작했으니 지구 반대편까지 파고 나갈 것인가?

attach/1/7220655866.jpg

삽질의 공식이라고나 할까?

 

files/attach/images/63/684/024/%EC%9D%B4%EB%AA%85%EB%B0%95_%EA%B0%9C%EC%82%BD%EC%A7%88_%EC%9D%B8%EC%A6%9D.jpg

물론 '삽질의 달인'이라 할만한 이 분에게는 미치지는 못하고 있다. 이 분은 말그대로 대한민국 곳곳을 포크레인으로 긁어내고 있으며, 이런 공사는 더욱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잡설은 각설한다.

 

깊게 파내려가기 위해서는 넓게 파야한다. 반대로 말하면, 넓게 파야지만 깊게 파내려갈 수가 있다.

한 분야의 전문가가되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가져야 한다.

전문가(프로페셔널, Professional)의 시대.

- 미투데이 '전문가' 검색 : http://me2day.net/search?search_at=all&query=전문가

- 트위터 '전문가' 검색 : http://tinyurl.com/2asgvpg

자신의 분야에서 '인정'받는 그 방면의 달인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읽어볼 거리 : 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한 분야에 정통해야 한다라고 이야기 한다. 그 정통해진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정통하다'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사물에 대하여 깊고 자세히 통하여 ." 이라고 한다. 비단 사물만이 아니라, 그가 종사하고 있는(몸 담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 깊고 자세히 안다는 뜻이리라.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이름없는 전문가가 많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TV 속에 나오는 전문가들. 그 사람들은 누군가의 입소문을 통하여 전문가로서, 누군가에게 추천을 받은 이들이 많다. 그런데,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해야할 일을, 흔히들 '삽질'해야한다고 한다. 군대에서는 삽질한다는 의미는 안좋은 의미(괜한 일에 시간과 노력을 들이면서 쓸데없는 짓을 한다)로 사용되지만, 적어도 자신이 전문가라고 자신할 수 있는 일에 대해서는 이런 '삽질'의 경험이 많아야 한다. 이 시대는 전문가를 원한다. 왜냐고? 사회에서는,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인력들에 대해서 투자비용을 적게 허비하기를 원한다. 그래야 자신들에게 이득이니까... 그래서 기업들은 '초보'보다는 '경험자' 혹은 '유경험자'를 원한다.  그렇지만 '유경험자'는 숫자가 한정되어 있다. ㅡ_-);; 그래서 사회에서는 치열한 인력 스카웃 경쟁을 벌이게 된다. 그들은 가능한 '초보'나 '신입'에게 눈을 돌리고 싶어하지 않는다.

이런 된장맞을... '초보'나 '신입'을 키워줘야 나중에 '경험자'가 되는거지!! 누구는 어머니 뱃속부터 '전문가'라고 출생신고 하고 세상에 나오나? ㅡ_-)?

전문가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자기 스스로 '전문가'라고 칭하는 사람과, 다른 사람들에 의해 '전문가'라고 칭해지는 사람들.

내 개인적으로는, 스스로 '전문가'라고 칭하는 사람보다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전문가'라고 인정받는 사람들이 더 전문가로서의 능력이 탁월하다고 생각을 한다. 우리나라에서 정치가들도 자기들이 '전문가'라고 주장하는 우스운 상황들을 보면서, '전문가'라는 단어의 재정의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은 겸손할수록 고개를 숙이고, 그럴수록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받게 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에 의해 인정받는 '전문가'가 되기를 바란다.

 

그나저나.. ㅡ_-);; 전문가 참 많다....

 

전문가가 되려면 깊게 파야한다. 하지만! 깊게 파려면 먼저 넓게 파놓아야 한다.

ybi/1/dc/67/funnyblog/folder/42338/img_42338_1276617_9?1173332310.jpg

위의 사진은 다이아몬드 광산의 모습을 멀리서 찍은 모습이다. ㅡ_-);; 다이아몬드라는 고귀한 보석을 채취하기 위해 인간은 저렇게 거대한 땅구덩이를 파내려가고 있는 것이다. ㅡ_-);; 이 장면은 좀 그렇다...

 

  과거(20세기)의 전문가들은 정말 한 분야에 대해서 정통성을 가진 사람이 많았다. 그 때는 자기가 맡은 분야만 제대로 하고 있으면 인정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시대가 변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해가고 있으며, 새로운 업종이 생겨났다가 사라지고, 새로운 유행이 생겨났다가 사라지고, 많은 전문가가 출현했다가 사라진다. ㅡ_-);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전문가' 참 많다. 증명되지 않은 전문가가 참 많다. 스스로 '전문가'라고 내걸지만, 과연 그 사람이 전문가로서의 자격과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component/htmlphoto_mmdata/200610/htm_2006101008235640004010-001.JPG

출처 : http://cafe.joins.com/genedea/320836

요즘 시대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것, 다양한 분야, 시대적인 유행과 흐름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만큼 세계의 많은 것들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자신의 전문분야를 가지고 있는 전문가들도, 자신의 전문분야가 사회에서 크게 관심받으며 각광받으면 그 사람의 지위도 함께 상승하지만, 시간이 흘러 전문분야가 쇄하게 되면 그와 함께 전문가의 위치도 하락하게 되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가 있다. 그건, 그 전문가가 그 분야에는 정통하지만, 그 분야가 사회적인 여러 영향들에 의해서 변화해가면서 다른 분야로 전이되거나 변해가는 모습을 제대로 능숙하게 대처하지 못한 잘못이 크다고도 할 수 있다.

  "적자생존"은 생물의 진화설에서 널리 퍼져있는 설이다.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은 자가 강한 것이며, 변화에 적응한 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냉혹한 세계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이다. 이제 전문가는 깊게 알고만 있다고 해서(이런 인재형을 I형 이라고 한다) 전문가라고 생색을 낼 수 있는 시대는 지나갔다. 이제 T자형인재를 뛰어넘어 W자형 인재를 요구하는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난 전문가보다는 여전히 만능가(Generalist)가 되고 싶다.

  일설을 길게 늘어놓았지만, 나는 '전문가(Specialist)'가 되기보다는 '만능가(Generalist)'가 되고 싶다.

  우리나라의 전문가는 '한 분야에 대한 정통함'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 이상의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흔하지가 않았다. 그러나최근 들어서 전문가라고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사람들을 보면, 그들은 정말 다양한 분야에 정통한 모습을 보인다. 팝송, 와인, 대인관계, 자기계발 등에 있어서 다른 사람들의 멘토(Mento)가 되어줄 수 있을 만큼 깊은 내공을 보여준다.

  하지만, 언론에 보도되는 전문가들은 다른 분야에 있어서  미숙한 모습을 많이 보인다. 그들은 다른 분야에 대해서 문외하다. 그런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 볼수록 나는 '보다 넓게 보다 멀리'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그건 내가 개인적인 성향과도 어울리는 부분이 있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어떤 한 분야를 진득하게 하는 진중함이 없다. ^^; 그저 하고 싶은 일을 찾아서 하고, 그 일에 대한 흥미가 사라지면 다른 일을 찾아다닌다. 그건 어느 정도 살아온 지금도 마찬가지다. 다른 사람들은 가정을 꾸리고 '안정된' 삶을 추구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도, 나는 여전히 '재미있는' 일, '흥미로운' 일, '신나는' 일을 찾아서 떠돌고 있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1
블로그 이미지

Email : ihoneymon@gmail.com 안녕하세요, 꿀괴물 입니다. ^^ 멋진 비행을 준비 하는 블로그 입니다. 만능형 인간이 되어 많은 이들에게 인정받고, 즐겁고 행복하게 살기를 간절히 원합니다!! 달콤살벌한 꿀괴물의 좌충우돌 파란만장한 여정을 지켜봐주세요!! ^^

허니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