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5/25'에 해당되는 글 2건

허니몬의 IT 이야기

분기문(선택)

IF

If( expr )

실행문 1;

[Else]

[ 실행문 2;]

조건식 expr이 참이면 문장 또는 실행문 1이 실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실행문 2가 실행된다.

조건식이 참이 아닐 때 실행할 것이 없으면 else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만일 조건식이 참일 때 실행할 것이 없으면 문장 대신에 ;을 쓰면 된다.

-> Java ex)

Public class Ifexam{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5;

Int b = 4;

If (a > b) {

System.out.println(a b보다 큽니다.);

}

If (a == b) {

System.out.println(a b가 같습니다.);

}

If (a < b) {

System.out.println(a b보다 작습니다.);

}

}

}

- > C ex)

Main()

{

Int a = 5;

Int b = 4;

{

If (a > b)

Pirntf(a b보다 큽니다.);

If (a == b)

Printf(a b가 같습니다.);

If (a < b)

Printf(a b보다 작습니다.);

}

}

Switch-case

Switch-case 문은 비교해야 할 조건이 여러 개일 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f-else 문을 사용해도 얼마든지 여러 가지의 조건을 나타낼 수 있지만, 비교 값이 정수이거나 문자이면 switch문을 사용하는 것이 코드를 훨씬 간결하게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Switch (변수) {

Case 1:

실행문1; break;

Case 2:

실행문2; break;

Default : 실행문; break;

}

컴퓨터는 코드를 읽다가 break문을 만나면 switch문을 벗어난다. break문은 순환에서 빠져나오게 하는 명령이다. 다만, switch문은 연속적인 값을 비교할 수 없다. 비교값이 정수나 문자일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Java ex)

Public class SwitchTest{

Public static voic main(String args[]){

Int a = 3;

Switch (a)

{

Case 1:

System.out.println(a 값이 1입니다.); break;

Case 3:

System.out.println(a 값이 3입니다.); break;

Case 4:

System.out.println(a 값이 4입니다.); break;

Default :

System.out.println(a 값을 모르겠습니다. ^^;); break;

}

C ex)

Int c;

C = getchar ();

Switch (c)

{

Case 1: printf(c값이 1 입니다.); break;

Case 2: printf(c값이 2 입니다.); break;

Case 3: printf(c값이 3 입니다.); break;

Default : printf( c값이 뭘까요?? ); break;

}

반복문

For

For 문은 실행문을 반복하는 횟수를 따로 지정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For 문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아주 중요하고 기본적인 반복 제어문이다.

For(반복 변수 초기화; 반복 변수 조건; 반복 변수 값 변화) {

실행문;

}

Java ex)

Class ForExam{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sum=0;

for(int increment=1;increment <= 10; increment++){

sum=sum+increment;

}

System.out.println(1에서 10까지의 합은 + sum +입니다.);

}

}

C ex)

Main()

{

Int sum=0, i;

For(i=1; i<=10; i++)

{ sum = sum + i;

}

Printf(1에서 10까지의 합은 %d 입니다., sum);

}

While

While 문은 실행문을 계속 되풀이해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for 문과 비슷하지만, 반복을 끝내는 방법이 다르다.

While (조건문) {

실행문;

}

Java ex)

public class WhileExam{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sum=0;

int increment = 1;

while(increment <=10){

sum = sum + increment;

increment++;

}

System.out.println(1부터 10까지 합은 + sum + 입니다.);

}

}

C ex)

main() {

int sum=0;

int i=1;

while(i <= 10) {

sum = sum + i;

i++;

}

Printf(1에서 10까지의 합은 %d 입니다., sum);

}

Do-while

While 문은 조건이 참인 경우에만 실행문이 실행된다. 그러므로 주어진 조건이 거짓이면 while 문의 영역은 한번도 실행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do-while문은 조건을 판단하는 문장이 do-while 문의 마지막에 놓이므로 조건에 상관없이 실행문이 최소한 한번은 실행된다.

do { 실행문;

}

While(조건);

Java ex)

Public class DoWhileExam{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increment = 1;

Do {

System.out.println(increment + 번 수행되었습니다.);

increment++;

}

While(increment > 10);

}

}

C ex)

Main(){

Int i = 1;

Do

{

Printf(%d 번 수행되었습니다.);

i++;

}while(i<10);}



'허니몬의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퀵백!(Quick!! and Feedback!)  (0) 2006.06.09
100달러 노트북!! 내꺼는 900달러 정도인가...  (0) 2006.06.09
초소형 PC??  (0) 2006.06.09
접근제어  (0) 2006.05.25
뒤늦게 시작한 프로그래밍. 어렵다.  (0) 2006.05.23
허니몬의 IT 이야기

메서드나 멤버 변수를 정의할 때 public, private 와 같은 접근 제한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메서드나 변수를 호출해서 사용하는 클래스의 범위를 지정하기 위해서이다. 다시 말해, 클래스 계층 구조에서 어떤 위치의 클래스인지에 따라 접근 권한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을 접근 제어라고 한다.

1단계 public
외부 객체에서 마음대로 접근이 가능한 접근 제어이다.
즉 이 명령어를 사용한다면 외부객체에서도 무조건 접근이 가능해진다
.

2
단계 protected

같은 클래스에 존재하면서 상속 관계에 있는 내용만 접근이 가능해진다.

3
단계 default
3
단계로 나누면 보편적으로 취급을 하지 않는 명령으로..
같은 패키지에 있는 클래스만 접근이 가능해진다
.

4
단계 private
외부객체에 접근을 100% 차단한다.
많은 인터넷 프로그램이 private를 묶어준 다음 일부적으로 지역변수

안에서 함수를 선언 public으로 쓰도록 접근제어를 하는 것이 사실이다.

1
블로그 이미지

Email : ihoneymon@gmail.com 안녕하세요, 꿀괴물 입니다. ^^ 멋진 비행을 준비 하는 블로그 입니다. 만능형 인간이 되어 많은 이들에게 인정받고, 즐겁고 행복하게 살기를 간절히 원합니다!! 달콤살벌한 꿀괴물의 좌충우돌 파란만장한 여정을 지켜봐주세요!! ^^

허니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