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 시스템 구축 및 사용은 앞으로 많은 기관과 업체들에서 각광받는 서비스업무로도 자리잡게 될 것이다. 가상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통해 보안과 비용 면에서 다양한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된다면, 가상화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증폭될 것이다(참조:http://www.gluesys.com/tt/369).
가상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VMware이나 아래의 VirtualBox와 같은 가상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그 가상화 프로그램 위에 별도의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실행하는 방법이다. VM이나 VirtualBox나 무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VirtualBox 설치 및 실행방법을 올린다.
SUN VirtualBox 다운로드 사이트 : http://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그림 1. VirtualBox 실행화면
그림 2. 설치프로그램
VirtualBox 실행화면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가상머신만들기 마법사 창이 뜬다.
하드디스크 이미지는 *.VDI 형식으로 만들어지며, 읽어올 수 있는 가상 하드디스크 이미지는 *.vmdk, *.vdi, *.vhd 형식이다.
그림. Fedora 10 Live Desktop 실행화면
VirtualBox(이하 '버박') 설치 후에 '게스트 확장 설치'를 해줘야 하드웨어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인식되고 3D기능까지 활용가능하다.
'버박' 가상머신 창에서 장치(0)-'게스트 확장 설치'를 클릭하여 설치할 수도 있지만, 나의 경우에는 이상하게도 자동다운로드 및 설치가 되지 않아 아래 경로로 해서 수동으로 다운받아서 '버박'에서 ISO를 이미지 마운트 시켜서 설치하였다. 이후 화면 실행 속도도 빨라졌고, 오디오 장치도 인식되어 '버박'창 안에서 실행한 미디어플레이어를 통해서 우분투 시스템에서 음악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http://download.virtualbox.org/virtualbox/2.0.4/VBoxGuestAdditions_2.0.4.iso
'허니몬의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Pv4 주소 갯수 확인 (0) | 2009.01.03 |
|---|---|
| 우분투 Virtualbox 실행시 키보드 안먹히는 증상 (0) | 2009.01.02 |
| Google의 경영철학 (0) | 2008.12.14 |
| 오늘은... me2day 플러그인을 이용해서 블로그에 연결했음.... (4) | 2008.12.03 |
| 081117_Internet Explorer 7.0 삭제방법 (0) | 2008.11.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