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사용환경은 스마트폰, 타블렛, PC 환경 속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그 이야기는 개발자가 다양한 환경을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그건 물론 기획자나 디자이너도 마찬가지죠.
요즘은... 개발자들이 너무 멀티플레이어로서 활동하는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도 듭니다. 공부해야할 분야들이 늘어나는 것은 학습에 대한 스트레스로 작용되어 새로운 이들의 진입을 어렵게 만들기도 합니다.
구글 웹 스토어가 처음 생겼을 때에는 구글의 서비스를 기본으로 한 것들 뿐이었지만, 오늘 들어가본 웹 스토어에는 다양한 웹앱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유용하기도 하고, 구글 크롬의 동기화 기능을 이용하면 집-사무실-노트북 등에서 다양한 환경에서 동일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마도, 크롬OS가 그리는 미래의 모습이 아닐까요?
구글 웹앱에서 설치하고 나면 새 탭에서 설치한 웹앱들을 볼 수 있습니다.
아직 아이콘들은 통일성이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구글은 이런 화면 아이콘들의 UI를 통일하는 것에는 제법 인색합니다. 기능 중시를 하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보기도 좋은 떡이 먹기 도 좋다'라는 것처럼 통일성 있고 깔끔한 아이콘으로 개선되길 바랍니다. ^^
'허니몬의 IT 이야기 > IT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ay 1, 2, 3. 참 쉽기도 하지. (2) | 2011.07.14 |
---|---|
구글의 새롭게 변한 검색 화면, 그리고 구글+ (2) | 2011.06.30 |
마이피플 PC버전(Adobe Air) 출시 (2) | 2011.05.30 |
Microsoft Office Web App 사용해보기 (1) | 2011.05.30 |
스프링노트(http://springnote.com)의 임시점검 (0) | 2011.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