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8'에 해당되는 글 2건

허니몬에 관한 보고서/허니몬의 드림성공노트
[MONEY] 20대여, 독해져라

[중앙일보 고란] 오래 사는 게 '위험'인 세상이다. 평균 수명은 늘어만 가는데 은퇴 연령은 빨라만 진다. 55세까지 일한다 쳐도 은퇴 후 수입 없이 30년은 더 살아야 한다.

억대 연봉자라면 모를까, 웬만한 월급쟁이들은 당장 생활에 허덕인다. 그렇다고 요즘 세상에 늙어서 자식에 기대겠다는 바람은 시대착오적 망상이다. 20대부터 재테크를 시작해야 하는 이유다. 한 살이라도 젊었을 때 준비해야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다.

◆아껴야 잘 산다=보통 20대 중.후반이 돼서야 직장을 잡게 된다. 부모에게 용돈만 타 쓰다 처음으로 돈을 만지게 되는 시기다. 갑자기 수입이 늘어나니 헤프게 쓰기 쉽다.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무조건 아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출이 통제되지 않고선 목돈을 만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계획적인 소비 습관을 위해 신용카드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우리투자증권 양해근 과장은 "아예 신용카드를 쓰지 마라"고 충고한다. 현금영수증 제도의 정착으로, 그간 받아왔던 신용카드 사용액에 대한 소득공제 혜택은 효용성이 떨어졌다.

내 지갑에서 돈이 나가는 걸 봐야 돈 귀한 줄 알게 된다.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매달 투자액은 최소 월급의 절반이다. 하나은행 백미경 지점장은 "최소 70% 이상, 용돈만 제외하고 전부 저축하라"고 말할 정도다.

이렇게 무작정 아끼고 저축하자니 힘든 게 사실이다. 일단 저축에 재미를 붙이자. 만기 비율을 다양하게 맞춰, 적은 금액이라도 예.적금이나 펀드 등을 여러 개 가입하자. 아껴 뭐하나 싶을 때마다 만기가 돌아온 적금.펀드가 심신을 달래 줄 것이다.

월급 날짜에 맞춰 자동이체를 신청하는 것도 방법이다. 월급에 손 대기 전에 저축.투자를 위한 돈은 미리 떼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는 과감하게=20대 재테크의 최대 목표는 목돈 마련이다. 종자돈이 있어야 앞으로 더 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확정금리상품에 의존하면 안 된다. 적극적인 자산운용을 할 필요가 있다. 우리은행 박승안 팀장은 "해외펀드를 포함한 주식 간접투자 상품에 60%를 투자하라"고 말한다.

심지어 70~80%까지도 괜찮다. 20대는 남은 투자기간이 길고, 설령 실패하더라도 만회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다. 구체적으로, 필요할 때마다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상품으로는 은행 예금보다 이자를 더 쳐주는 증권사의 종합자산관리계좌(CMA) 등을 이용한다. 6개월~1년 안에 써야 할 자금이라면 조금이라도 이자가 비싼 저축은행 상품을 선택한다.

5000만원까지는 예금자 보호가 되므로 최악의 경우에도 원금은 보장된다. 2년 이상 묵혀도 좋은 장기자금은 주식형 펀드 등에 투자할 만하다.

이와는 별도로 내집 마련을 위해 청약저축.부금 등 주택청약 상품에 반드시 가입하도록 한다. 보험은 평생 재테크 계획이 차질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위험관리 차원에서 그쳐야 한다.

◆최선의 재테크는 자기계발='지름신'이 자주 강림하신다는 20대다. 인생의 재무목표를 정하고 하나씩 실천해야 충동적 소비를 줄일 수 있다.

결혼은 언제 할지, 비용은 얼마나 들지 등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워야 한다. '왜 돈을 벌어야 할까'에 대한 목표가 분명한 사람은 '어떻게 돈을 불릴 수 있을까'에 대한 답도 쉽게 얻기 마련이다.

여러 수단이 있지만 무엇보다 20대에 가장 중요한 재테크는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수입의 대부분은 이자.배당금 등 수익이 아니라 소득에서 나온다.

능력을 인정받아 '몸값'을 높이는 게 최선의 재테크다. 삼성증권 김재언 과장은 "도서 구입, 자격증 공부 등 자기계발과 같은 투자형 지출은 아끼지 말 것"을 권했다.

고란 기자 neoran@joongang.co.kr
허니몬의 IT 이야기
MS, 고성능 검색기술개발에 관한 연구성과를 발표
Candace Lombardi [2006/08/09]
원문보기

검색 순위나 검색 정밀도 등 신기술개발에 착수한 MS의 연구자가 성과를 발표했다.

MS의 연구자 그룹이 발표한 2건의 연구 논문에 의하면, 특정 콘텐츠의 열람 및 클릭-스루(Click-Though)의 검색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는 MS의 신기술이 검색 순위에 이용하는 알고리즘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했다.

MS 리서치의 Mining, Search and Navigation Group의 유진 아지치타인(Agichtein)은 "현재 이용되고 있는 검색 엔진의 대부분은 콘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문의와 웹 페이지의 링크 구조를 대조, 그 결과를 리스트로 표시하는, 2개의 접근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우리가 착수하고 있는 개발은 여기에 사용자 자신을 포함시키는 세가지의 접근 방법이다. 이러한 새로운 기법에 의해서 검색 익스피리언스(experience)가 향상한다" 라고 말했다.

8월 6일부터 11일에 걸쳐, 시애틀에서 국제 연차 이벤트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s Special Interest Group on Information Retrieval(ACM SIGIR 2006)」가 개최되고 있다. 올해로 29번째가 되는 이번 이벤트에서는, MS의 연구자와 각 대학의 연구자로 구성된 13개의 그룹이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 이벤트에서 발표된 논문 가운데, 「웹 검색 결과의 우선도를 예측하기 위한 사용자 상호작용 모델 연구(Learning User Interaction Models for Predicting Web Search Results Preferences)는, 처음 검색 결과의 페이지에서 클릭-스루이후의 사용자 행동을 추적하는 신기술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소정의 페이지에 다수의 사용자가 머물렀던 합계 시간이나, 사용자가 각 페이지의 열람에서 소비하는 평균 시간으로 계산한, 가장 긴 '체재시간' 을 보낸 웹페이지, 도메인내에서 검색된 단어를 보유하는 비율이 높은 페이지에 대한 열람 시간 등의 요소를 응용,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검색 이용자에 의해 클릭된 검색어, 도메인명, 페이지 타이틀, 요점 등에 공통되는 단어의 비율에 연구자들은 주목했다고 한다.

"웹 검색 환경은 원래 잡음이 많지만, '군중의 지혜'를 활용하면,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동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우리의 이 방법은 지금까지 사용한 어떤 방법보다도 정밀도가 높고,웹 검색 결과에 있어서도 선택의 타당성을 자동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라고, MS의 연구 그룹은 논문에 기록하고 있다.

같은 연구자 그룹이 발표한 또 하나의 논문에서는, 검색 알고리즘의 개량에서 이러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해 논했다. 이 연구자 그룹은 3,000건에 달하는 검색 데이터와 1,200만건의 사용자 상호작용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이용, 이 그룹이 개발한 방법이 웹 검색순위 알고리즘을 31%향상시키는 것을 나타냈다.@
Copyright ⓒ 2004 CNET Networks, Inc. All rights reserved. ZDNet is a registered service mark of CNET Networks, Inc. ZDNet Logo is service mark of CNET Networks,
1
블로그 이미지

Email : ihoneymon@gmail.com 안녕하세요, 꿀괴물 입니다. ^^ 멋진 비행을 준비 하는 블로그 입니다. 만능형 인간이 되어 많은 이들에게 인정받고, 즐겁고 행복하게 살기를 간절히 원합니다!! 달콤살벌한 꿀괴물의 좌충우돌 파란만장한 여정을 지켜봐주세요!! ^^

허니몬